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DL은 나도 실제로 못봐서...
- 엔진오일 보충 절차
- 내용은 케이스 드레인
- 서비스 인터폰
- ADF
- 비슷하겠지...
- 면장구술
- 벤츄리효과?
- 설명 부실은 아니고...
- Inert gas
- ATC와 TCAS 차이점
- 제목은 유압계통
- 두번재 인생일기
- VOR
- Cross Feed
- 플라이트 타임
- 핵심만 간단히!
- 그땐 다같이 기도해야지 뭐...
- STANDBY INSTRUMENT
- 타임인서비스
- 태양광 프로펠러
- ACAS
- B737
- 블록 타임
- 객실 인터폰
- flight simulator X
- Servicing
- 플라이트 인터폰
- SATCOM
- run-up
- Today
- Total
도전의 항공정비사
[스크랩]보잉 737 MAX 항공기 추락 원인 본문
http://m.cafe.daum.net/dotax/Elgq/2821707?svc=kakaotablkTab&bucket=toros_cafe_channel_alpha
보잉 737 항공기 추락 원인
m.cafe.daum.net
최근에 떠들썩했던 B737 MAX8의 추락 원인에 대해서 사진과 더불어 잘 정리된 내용입니다.
보잉이 에어버스와의 무리한 경쟁으로 추가한 MCAS(조종특성향상시스템)이 문제가 되어 발생한 사건으로
항공기 내에 수많은 안전 시스템과 정비사들의 철저한 정비로 매우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항공산업에
안타까운 사건입니다.
항공정비를 공부하면 할수록 이렇게까지 대비해야 하는가 할 정도록 수많은 안전장치(페일세이프)로 인해서
항공기란 굉장히 안전한 교통수단임을 느끼곤 하는데, 이번 사건을 통해서 한 장치가 작동하지 않았을 때에
백업해 줄 수 있는 다른 장치에 대한 대비는 철저한대에 비해 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와
보낸 신호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시스템의 감시와 검증은 부족하지 않았냐는 생각과
인간은 항상 안전에 대해서는 자만하지 말아야 하겠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는 사건이었던 것 같습니다.
B737 MAX는 대한항공을 포함 국내의 대부분의 LCC(저비용 항공사)에서 사용하는 기종(B737 NG)의
다음 버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잉에서 B737 NG를 더 이상 생산하지 않아 앞으로 MAX를 구입하거나
경쟁사인 에어버스의 A320neo를 구매해야 하는데 LCC 특성상 여러 기종을 운영할 수 없기 때문에
B737를 운영하고 있는 항공사들은(대한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 이스타, 플라이강원)
MAX가 개선되어 안전성이 확보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항공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737 NG][면장 구술] 인터폰 시스템(Interphone Systems)(수정 20.07.27) (0) | 2019.07.10 |
---|---|
[B737 NG] ACM의 특징(Reheater, Condenser) (0) | 2019.07.08 |
[B737 NG][면장 구술] 엔진 시동 절차(engine run-up)(영상 추가) (0) | 2019.07.04 |
[전문학교] B737 NG 기종 교육 후기 (0) | 2019.07.02 |
늦은 나이 항공 정비를 도전하게 된 이유... (0) | 201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