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블록 타임
- 제목은 유압계통
- 엔진오일 보충 절차
- flight simulator X
- CDL은 나도 실제로 못봐서...
- VOR
- 태양광 프로펠러
- 타임인서비스
- 벤츄리효과?
- Inert gas
- 그땐 다같이 기도해야지 뭐...
- Servicing
- 객실 인터폰
- 내용은 케이스 드레인
- run-up
- ADF
- 서비스 인터폰
- 두번재 인생일기
- 플라이트 타임
- ATC와 TCAS 차이점
- 설명 부실은 아니고...
- 플라이트 인터폰
- 핵심만 간단히!
- SATCOM
- ACAS
- 비슷하겠지...
- STANDBY INSTRUMENT
- 면장구술
- B737
- Cross Feed
- Today
- Total
도전의 항공정비사
[B737 NG][면장 구술] 엔진 시동 절차(engine run-up)(영상 추가) 본문
항공정비사 면장(자격증명) 구술에 자주 출제되는 질문 중 하나가 엔진 시동 절차일 것이다.
오늘은 B737 NG의 시동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자세한 절차를 알고 싶으면 정독, 구술을 위한 간단한 절차를 알고 싶으면 마지막 정리 참고)
※ 사전 준비 절차
사실 시동 절차보다 중요한 것이 사전 준비사항이다.
기본적으로 항공기를 주변으로부터 안전한 곳에 위치시키며,
엔진 주변에 사람이나 물건들 정리 및 통제,
초크(고임목), 파킹 브레이크, 랜딩기어 락핀 설치,
항공기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커버 제거,
엔진과 IDG 오일 체크,
각종 스위치들(트러스트, 리버서, 스타트 레버 등)과
CB(Circuit Breaker) 정위치 여부 확인 등 많은 것들이 있다.
또한 737은 특별하게 웨더 레이더(Weather Radar)의 CB를 반드시 뽑고,
연료의 탱크의 연료량이 매뉴얼에 정해진 양보다 이상에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그 이유는 WR 같은 경우 엔진 시동 시 일정 조건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항공기 전방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연료량은 Hydraulic(유압) 펌프 작동 시 연료탱크에 위치한 Heat Exchanger에서 연료와 유압의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한 최소한의 연료량이 정해져 있어 유압펌프의 과열방지를
위해서이다.
☆ 시동 절차(그림과 절차 번호를 참고)
먼저 APU나 GPU와 GTC로 항공기에 전력과 시동에 필요한 공압을 공급하고 있다고 가정하겠다.
① 먼저 배터리 스위치가 ON에 위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APU나 GPU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어도 유사시에 작동할 수 있는 것은 배터리이기 때문에)
② 엔진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서 OVHT DET의 위치가 Normal 있는지 확인한다.
③ Test 스위치를 OVHT/FIRE 위치에 두고 각종 경고 라이트가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④ 소화기(EXT) 점검을 위해서 EXT TEST 스위치를 각각 1번과 2번에 두고 아래에 그린 라이트가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⑤ 4개의 유압펌프 스위치를 모두 ON에 위치시킨다.
양쪽 사이드 두 개의 ENG1(EDP)과 ENG2(ENG4로 오기) 위에 LOW PRESSURE light가 들어오고,
안쪽 두 개의 ELEC2(EMDP)와 ELEC1 위에 LOW PRESSURE light가 사라지는지 확인한다.
(EDP는 엔진이 작동되지 않았으니 당연히 LOW PRESSURE light가 들어와야 하고,
EMDP는 공급된 전력으로 작동 중이니 당연히 LOW PRESSURE light가 사라져야 정상)
⑥ L PACK과 R PACK 스위치가 OFF에 있는지 확인
⑦ WING ANTI-ICE와 ENG ANTI-ICE 스위치가 OFF에 있는지 확인
⑧ ISOLATION VALVE가 OPEN(아래쪽으로 위치)에 있는지 확인
⑨ BLEED 스위치(왼쪽이 엔진 1, 가운데가 APU, 엔진 2)는 상황에 따라 위치시킨다(보통 OFF).
(APU로 시동 시에는 가운데 스위치를 ON, 나머지는 OFF)
⑩ 엔진 EEC가 ON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
⑪ 엔진 VIBRATION 0인지 확인
⑫ FUEL PUMP를 ON 두고 LOW PRESSURE light가 들어오지 않는지 확인(들어오면 OFF 하고 정비)
⑬ 양쪽 사이드에 있는 GEN1과 GEN2 스위치를 ON에 위치
(아직 IDG에서 생산한 전기를 공급하지는 않지만 릴레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실히 하려고)
⑭ 점화 선택 스위치(Ignition select)를 원하는 곳에 위치
(보통 L이나 R 중 한쪽으로 두고, 배터리로 점화 시에는 R에 둬야 한다)
자 이제부터 본격적인 시동
(1) 시동하려는 엔진(ENG 1)의 ENGINE START 스위치를 GRD에 둔다.
(2) Center DU(Display Unit)에 START VLV OPEN가 들어오는지, N1과 N2가 상승하는지 확인
(3) N2가 25%가 되면 start lever를 IDLE 위치에 둔다.
(4) EGT와 N2가 상승하는지 확인(만약 EGT가 상승하지 않는다면 start lever를 CUTOFF에 두고
60초 동안 Dry Motoring 실시 후 엔진 런업을 멈추고 정비)
N2가 56%에 도달하면 ENGINE START 스위치가 OFF로 자동적으로 바뀌고 DU에 START VLV OPEN
light가 꺼지는지 확인
정상적으로 엔진이 IDLE 상태로 안정적으로 작동 중인지 확인하고 DU에 LOW OIL PRESSURE light가
꺼지는지 확인
(5) GENERATOR 1 DRIVE light가 꺼지는지 확인
이후 동일하게 다른 엔진(ENG 2)의 시동을 동일하게 걸면 된다.
★ 구술용 정리(실제로는 위처럼 매뉴얼 보고 절차대로 해야겠지만, 구술은 핵심적인 것만)
○ 737 특이사항 빼고 사전 준비 절차는 반드시 숙지
○ ① → "엔진 화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합니다"하고 → ⑤,⑥,⑧,⑨,⑫,⑭
→ (1)~(5)
'항공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737 NG][면장 구술] 인터폰 시스템(Interphone Systems)(수정 20.07.27) (0) | 2019.07.10 |
---|---|
[B737 NG] ACM의 특징(Reheater, Condenser) (0) | 2019.07.08 |
[전문학교] B737 NG 기종 교육 후기 (0) | 2019.07.02 |
[스크랩]보잉 737 MAX 항공기 추락 원인 (0) | 2019.07.01 |
늦은 나이 항공 정비를 도전하게 된 이유... (0) | 201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