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DL은 나도 실제로 못봐서...
- ADF
- 객실 인터폰
- 두번재 인생일기
- SATCOM
- 블록 타임
- 엔진오일 보충 절차
- 서비스 인터폰
- flight simulator X
- Inert gas
- 플라이트 인터폰
- 설명 부실은 아니고...
- 벤츄리효과?
- ATC와 TCAS 차이점
- ACAS
- Cross Feed
- 비슷하겠지...
- 핵심만 간단히!
- 면장구술
- 플라이트 타임
- 타임인서비스
- 제목은 유압계통
- 태양광 프로펠러
- 내용은 케이스 드레인
- 그땐 다같이 기도해야지 뭐...
- VOR
- STANDBY INSTRUMENT
- Servicing
- run-up
- B737
- Today
- Total
목록항공정비 (23)
도전의 항공정비사

B737 NG를 공부하다 보면 기존에 알고 있는 일반적인 항공 시스템과 다른 점들이 있다. 그중에 처음 B737의 Air Conditioning(Chapter 21)를 공부할 때 새롭게 등장하며 이해하기 힘들었던 부분이 바로 Reheater와 Condenser이었다. 기본적으로 이름이 그 목적과 중요한 기능을 나타내며 이름을 가지고 두 가지의 기능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Reheater는 다시 무언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을 할 것이고, Condenser는 응축기로 기체를 응축시켜 액화시킬 것이라고 말이다. 물론 매뉴얼에도 Reheater의 목적으로 "터빈으로 가기 전에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터빈의 효율을 상승시킨다" 라고 나와있으며, Condenser의 목적으로 "공기의 온도를 응결..

항공정비사 면장(자격증명) 구술에 자주 출제되는 질문 중 하나가 엔진 시동 절차일 것이다. 오늘은 B737 NG의 시동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자세한 절차를 알고 싶으면 정독, 구술을 위한 간단한 절차를 알고 싶으면 마지막 정리 참고) ※ 사전 준비 절차 사실 시동 절차보다 중요한 것이 사전 준비사항이다. 기본적으로 항공기를 주변으로부터 안전한 곳에 위치시키며, 엔진 주변에 사람이나 물건들 정리 및 통제, 초크(고임목), 파킹 브레이크, 랜딩기어 락핀 설치, 항공기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커버 제거, 엔진과 IDG 오일 체크, 각종 스위치들(트러스트, 리버서, 스타트 레버 등)과 CB(Circuit Breaker) 정위치 여부 확인 등 많은 것들이 있다. 또한 737은 특별하게 웨더 레이더(We..

학위, 자격증 등 필요한 과정을 3학기에 마치니 한 학기가 애매해졌다. 그러다 학교 측의 배려로 남은 학기 수업 대신에 B737 NG 기종 교육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어차피 취업이 우선이었지만 하반기에 취업이 되지 않았을 때에 다음 상반기에 기종 교육 이수는 경쟁력이 있는 스펙이 될 거라고 판단하였다. 처음에는 학위 취득과 학점관리, 자격증 취득, 토익 등 숨 가쁘게 달려왔는데 스펙을 위해 기종 교육까지 들어야 한다는 생각에 회의감이 들기도 했지만 어차피 내가 정비해야 하는 항공기에 대한 공부이기 때문에 기분 좋게 하기로 하였다. 수업은 ATA챕터별 전체적인 시스템에 대해서 배웠으며 라인 정비사 특화 과정이라고 하였다. 수업은 한글로 진행되지만 교재는 영어로만 쓰여있는 실제 매뉴얼을 가지고 공..

http://m.cafe.daum.net/dotax/Elgq/2821707?svc=kakaotablkTab&bucket=toros_cafe_channel_alpha 보잉 737 항공기 추락 원인 m.cafe.daum.net 최근에 떠들썩했던 B737 MAX8의 추락 원인에 대해서 사진과 더불어 잘 정리된 내용입니다. 보잉이 에어버스와의 무리한 경쟁으로 추가한 MCAS(조종특성향상시스템)이 문제가 되어 발생한 사건으로 항공기 내에 수많은 안전 시스템과 정비사들의 철저한 정비로 매우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항공산업에 안타까운 사건입니다. 항공정비를 공부하면 할수록 이렇게까지 대비해야 하는가 할 정도록 수많은 안전장치(페일세이프)로 인해서 항공기란 굉장히 안전한 교통수단임을 느끼곤 하는데, 이번 사건을 통해서 한..
본론부터 말하자면 직업을, 특히나 평생을 직장에서 보내야하는 남자에게 있어서 직장생활이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직장생활이 즐겁지 않다면? 괴롭다면? 내 인생의 대부분이 행복하지 않다는 것 아닌가? 퇴근후의 삶, 주말, 월급, 휴가, 승진 등 인생에 얼마 되지 않는 시간을 위해서 나머지의 대부분의 시간을 포기하며 사는 것은 이 얼마나 비효율적인 것인가... 그렇게 사는 직장생활에서 일은 잘되고? 한 만큼 인정은 받고? 승진은? 스스로에 대한 보람은? 나역시 고등학교 때까지 진로에 대한 아무 생각 없이 그저 공부든 학교생활이든 무엇이든 열심히만 살아왔고, 성적에 맞춰서 대학도 가게 되었다. 대학전공도 당시 떠들석했던 황우석 박사로 인해서 생물공학을 선택하..